개발바닥 아방수

WMware 가상머신 내 Windows7과 Ubuntu 설치하기 본문

웹 개발/기타

WMware 가상머신 내 Windows7과 Ubuntu 설치하기

앙큼아기 2022. 6. 28. 23:39

가상머신에 작업하기

💡 가상머신의 장점

  • 여러 컴퓨터들을 만들 수 있다. (집에서도 만들어서 작업할 것)
  • 여러 운영체제를 각각 가상머신에 설치할 수 있다. (Windows, Linux, Mac등) 가상머신은 바이러스로부터 본체도 지킬 수 있다.

⇒ 운영체제는 CPU별로 다르다.

  • 어떤 모듈을 설계할 때 그 CPU에 맞는 모듈을 설계하는 게 중요하다.
  • 현재 대부분 사용하는 Windows에 Apple Macintosh를 설치할 수 없다 → 설치할 수 없기에 가상머신을 만드는 것이다.

 

VMware Workstation

Windows7 설치하기

▶ VMware-workstation 15 pro version 원하는 드라이브에 설치, 첫 accept랑 데스크탑 아이콘만 체크하기

▶ serial key 넣기 UC7TH-2GG07-M80RY-FQXET-NL2YD

▶ installer disc image file에서 windows 파일을 넣는다.

▶ version of Windows to install에서 지원하는 운영체제가 있을 것이다. professional로 선택한다.

  • (home은 일반적인 사용이고,
  • professional/ultimate는 도메인에 가입될 수 있는 사용이다. ⇒ 도메인에 가입된 머신을 Workstation이라 부른다)

▶ serial key도 입력한다.

▶ Full name은 Win7으로 넣는다.

▶ 위치는 사용할 드라이브(D)에 UI-1 폴더 - VMware - Win7 파일 만들어서 자리 잡는다.

▶ customize할 때 프린터랑 스피커 삭제, CPU는 듀얼(2개)로 해준다.

실행후 네트워크 확인해보자

▶ 제어판 ▶ 네트워크 및 인터넷 ▶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네트워크

▶ 로컬 영역 연결 상태 ▶ 속성 ▶ Internet Protocol Version 4 (TCP/IPv4) 창 띄워두기

(VMwate Workstation 창으로 이동)

▶ VMware Workstation 왼쪽 상단 Edit ▶ Virtual Network Editor

▶ NAT 선택 ▶ subnet IP를 192.168.100.0으로 바꾼다(세번째를 100으로 바꿔주는 작업)

▶ DHCP setting 선택 ▶ Starting IP address와 Ending IP address를 192.168.100.0으로 바꾼다

▶ NAT setting 선택 ▶ Gateway IP를 192.168.100.2(세번째를 100으로, 네번째를 2로 바꿔주는 것) ▶ OK ▶ OK

(Internet Protocol Version 4 (TCP/IPv4) 창으로 복귀)

▶ IP주소 192.168.100.200으로 넣는다

▶ 서브넷 마스크 클릭시 자동으로 255.255.255.0으로 채워진다 ▶ 기본 게이트웨이 192.168.100.2로 넣는다

▶ 기본설정 DNS 서버에 192.168.100.2를 넣는다 ▶ 보조 DNS 서버는 168.126.63.1 (kt의 DNS 서버)


스냅샷 찍기

  • VMware Workstation 왼쪽 상단 메뉴 VM - Snapshot - Take Snapshot
  • 스냅샷을 찍어두면 이후 가상머신이 엉망이 되었을 경우, 해당 스냅샷으로 돌아갈 수 있다.

(Linux)Ubuntu

(* 아래 내용 중 생략된 내용은 기본으로 놔둔다)

VMware Workstation에서 new 생성을 한다 ▶ Custom 타입 선택

▶ operating system의 경우 맨 아래의 ‘I will install the operatimg system later’를 선택(나중 설치 의미)

▶ select a Guest Operating System 창에 도달시 Linux 선택

▶ Version은 Ubuntu 64-bit 선택

▶ Virtual machine name은 BT5r3, Location은 드라이브 폴더에서 BT5r3 찾아서 선택

▶ Processor Configuration은 Number of processors는 1, Number of cores per processor는 2로 선택

▶ Network Type은 Use network address translation (NAT) 선택

▶ Select a Dist는 Create a new virtual disk 선택

▶ Specify Disk Capacity는 50기가 정도

▶ Ready to Create Virtual Machine에서 Customize Hardware 클릭(진입)

▶ Print와 Sound Card는 remove

▶ CD/DVD (SATA)에서 Use ISO image file 선택

▶ 해당 Browse에 BT5R3-GNOME-64.iso 넣는다

▶ Finish

▶ VMware Workstation 왼쪽 상단 Help 옆에 있는 실행 이모티콘을 누른다

▶ 해당 창 엔터 누르고 설치 기다림

▶ root@bt:~# 이 떴을 때 startx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가 생긴다

▶ InstallBackTrack 누르고 언어 선택

▶ 설치 기다리면 끝.

 


알아두면 좋은 개념

 

🔎 //와 \\

  • //와 \\가 있는데, \\는 Linux/UNIX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기법, //는 Windows에서 사용하는 표기법
  • // OR \\는 ‘멀리 원격(로컬이 아니고)에 있는 장소’를 말한다.
  • http://www.naver.com는 naver.com이라는 도메인에 www는 웹서버를 띄워라, http라는 프로토콜.

 

🔎 /

  • /나 \를 쓰는 경우는 ‘나의 바로 아래에 있다’는 의미다.

 

근본, 원리, 원칙을 이해해야 기술자가 될 수 있다.

 

 

폴더에 접근하여 복사

  • 이런 식의 연결을 P2P(Peer to Peer) 방식이라고 부른다. 1대1로 주는 것. 컴퓨터가 1대1로 있고, 동등한 위치다. 보안적으로 위험한 방식이다.
  • 또 한가지 방식이 있는데 Server-Clients 방식이라고 한다. Server쪽 보안이 상당히 잘 되어있어서 Client들이 들어가기 어렵다.

 

🔎 서버(Server)

  •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(호스트), 서버 운영체제가 아니어도 된다(P2P방식)

 

🔎 클라이언트(Clients)

  • 서비스를 요청하는 컴퓨터들

 

🔎 도메인(Domain)

  • premise, zone, boundary(영역)으로서 가상으로 리소스(컴퓨터, 데이터, ...)들을 묶은 것경리과 Mr.Lee의 컴퓨터는 lee.account.naver.com으로 구별되며
  • Mr.Lee의 이메일은 lee@naver.com이 된다.
  • naver.com이라는 도메인에는 www.naver.com이라는 웹서버가 있고,
  • 경리과 Mr.Lee의 컴퓨터는 lee.account.naver.com으로 구별되며
  • Mr.Lee의 이메일은 lee@naver.com이 된다.

 

🔎 Assembly

  • VMware도 메모리에 잡힌다. 30일 단위나, 10회 사용과 같이 임의적으로 정해진 게 있다. 중요한 건 메모리상, 해당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에 들어가면 정품키가 들어가 있다. 내가 가지고 있는 정품키와 집어가는 키가 일치하는지 따져보고 aceept한다. for문으로 키가 바뀌는데, i 값을 바꾸거나 임의적 기간을 무제한으로 올리면 계속 쓸 수 있게 되는 것이다.

 

🔎 디지털포렌식

  • 파워가 있는 동안 켜져있는 건 메모리다. 메모리의 스냅샷을 뜬 것을 프로그램에 넣으면 아이디 비번까지 다 알 수 있다. 그게 디지털 포렌식이다. 완벽하게 지우는 건 데이터를 모두 0으로 집어넣는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