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바닥 아방수

Windows 2008 백업하기 본문

웹 개발/기타

Windows 2008 백업하기

앙큼아기 2022. 6. 29. 13:45

백업(Backup)은 복원(to Restore)을 하기 위한 것이다.

  • full backup: 전체 백업
  • increment backup: 증가분 백업
  • differential backup: archive bit를 백업한다.
    • archive bit 일부분만 빼서 저장하는 것
  • 첫날 full backup, 그 이후로는 increment backup인 child backup을 실행한다. 그주 업무가 끝난 시간에 weekly backup인 parent backup을 해둔다. 여러 주를 모아 한 달에 한 번 정도 Monthly backup인 grandparent backup을 한다.
  • 현재 Tapebackup을 많이 한다. Veritas(미국의 국제 데이터 관리 회사), SSL
    • 보안 소켓 계층(Secure Sockets Layer, SSL) 인증서는 종종 디지털 인증서로 불리며, 브라우저(사용자의 컴퓨터)와 서버(웹사이트) 사이의 암호화된 연결을 수립하는 데 사용된다.
    • (참고출처) https://www.digicert.com/kr/what-is-ssl-tls-and-https

 

 

❇️ Tape backup

 

 

❇️ SSL이란?

  • Backup Media는 Tape 드라이브를 많이 쓴다. 백업하면서 동시에 작업을 한다. 요즘은 다시 Tape backup media를 사용한다.
  • Increment backup을 수행할 때, full backup이 없으면 full backup부터 수행한 후 작업한다.
  • Windows는 Windows Server에서 백업
  • Linux에서는 Bacula에서 백업한다.

 


 

 

✅ Windows Server 2008 설치하기

▶ New Virtual Machine 선택

▶ Typical type 선택

▶ Version of Windows to install은 Windows Server 2008 Enterprise 선택 / Full name은 Winser1로 지정/ password는 winser1로 지정

▶ 40기가로 한다

▶ Printer와 Sound는 삭제한다.

▶ Finish

Ctrl + Alt + Insert

▶ Administrator 선택하여 아이디/ 비번 모두 admin으로 통일하기

▶ 시스템 종료하기

▶ VMware에서 Edit virtual machine setting 클릭하기

▶ add 하여 harddisk 30기가로 추가하기

▶ 창 뜨면 yes

▶ 다시 power on

▶ Ctrl + Alt + Insert

▶ administrator로 들어가기

 

 

✅ 백업하기 1

▶ 시작 > 관리도구 > 컴퓨터관리

▶ 저장소 > 디스크 관리

▶ 디스크1에 커서 올리고 오른쪽 클릭 ‘온라인’ 선택

▶ 초기화 안됨 확인시 다시 한 번 오른쪽 클릭하여 ‘디스크 초기화’ > 확인

▶ 디스크1 오른쪽 할당되지 않음 칸에 커서 올리고 오른쪽 클릭 ‘새 단순 볼륨’ 클릭

▶ 볼륨 크기 30기가 되어있는 것 확인 후 다음

▶ 드라이브 문자 할당 ‘E’ 그대로 다음

▶ 파티션 포맷에서 ‘NTFS/기본값/BACK/빠른 포맷 실행’ 선택 후 다음

▶ 마침

 

 

✅ 포맷하기

▶ 시작 > 컴퓨터 > 우측 클릭하여 ‘관리’ 클릭

▶ 왼쪽열에서 저장소 > 디스크 관리

▶ 디스크1 오른쪽 칸을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여 ‘포맷’ 선택

▶ 포맷시 ‘NTFS’ 선택

▶ 확인

 

 

백업하기 2

▶ 시작 > 관리도구 > 서버 관리자

▶ 왼쪽 열에서 ‘기능’ > ‘기능 추가’ 클릭

Window Server 백업 기능에서 Windows Server 백업만 체크

▶ 다음 > 설치

▶ 시작 > 관리 도구 > Windows Server 백업

▶ ‘한 번 백업’ 선택

▶ 백업 구성 선택에서 ‘사용자 지정’ 선택

▶ 백업 항목은 ‘C 드라이브’만 선택

▶ 대상 형식 지정은 현재는 ‘로컬 드라이브’ 선택

▶ 백업 대상은 ‘BACK(E:)’ 선택

▶ ‘백업’ 선택

⇒ E 드라이브에 가면 백업된 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.

  • 처음 하는 ‘한 번 백업’은 full backup

 

 

✅ 복구하기

▶ 임시로 C드라이브 > Program Files > VMware 폴더를 삭제한다

▶ 시작 > 관리도구 > Windows Server 백업

▶ 오른쪽 작업창에서 ‘복구’ 선택

▶ 시작에서 ‘이 서버’ 선택 (현재 로컬 드라이브 사용중이므로)

▶ 백업날짜 선택(다른 날짜가 필요시 선택하면 된다) 다음

▶ 복구 유형 선택은 실습의 경우 ‘파일 및 폴더’로 진행

▶ 복구할 항목 선택에서 C드라이브 > Program Files > VMware 해당 폴더 선택

▶ 복구 대상 원래 위치 다음

⇒ 복구시 폴더에서 확인 가능하다

 

  • WinSer1에서 C드라이브 내용을 BACK으로 백업해뒀다.
  • C드라이브에서 일부 폴더를 삭제하면, BACK을 통해 백업할 수 있다. 이때, BACK이 컴퓨터에 붙어 있으면 Local이다.
  • 실제 회사에서는 어떻게 쓰냐면, 별도의 백업 서버를 사용한다. 이것을 NAS/ SAN이라고 한다. Network Attached Storage(네트워크 접속 기반 파일 서버). SAN은 대기업용이다.
  • 별도의 백업 서버에서 복원하는 경우, 복구 마법사에서 다른 서버가 나오며 Network라는 단어를 쓰게 되어있다.

 

 

💡

  • 암호화하는 명령어 cypher. 간단하게 포트가 열려있을 때 암호화되어 사이트가 작살된다. 암호화 된 경우 키를 넣으면 정상으로 보인다. 이것이 랜섬웨어다.
  • 중요한 인덱스 파일을 다른 서버에 저장하면 살아남을 수 있다.
  • 회사에서 중요하는 것은 Biz Continuity다.
  • <a href=”http://~> 3번만에 접근 가능한지 모니터링한 게 구글이다.

 

 

✅ 증가분 백업하기

증가분백업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전체백업이 수행되어야 한다.

▶ 시작 > 관리도구 > Windows Server 백업 선택

▶ 왼쪽 탭 ‘동작’ > ‘성능 설정 구성’ 선택

▶ ‘항상 증분 백업 수행’ 선택

— 설정 후 full backup —

▶ ‘한 번 백업’ 선택

▶ 백업 구성 선택에서 ‘사용자 지정’ 선택

▶ 백업 항목 선택에서 ‘C 드라이브’ 선택

▶ 백업 대상 선택에서 ‘BACK(E:)’ 선택

▶ ‘백업’하면 된다

— increment backup —

▶ 바탕화면에 폴더 복사하여 증가분 만들기

▶ ‘한 번 백업’ 선택

▶ 백업 구성 선택에서 ‘사용자 지정’ 선택

▶ 백업 항목 선택에서 ‘C 드라이브’ 선택

▶ 백업 대상 선택에서 ‘BACK(E:)’ 선택

▶ ‘백업’하면 된다

▶ Windows Server에서 하단의 ‘자세히 보기’ 클릭시 백업유형이 ‘증분’임을 확인 가능하다

 

 

✅ 백업 일정

▶ 바탕화면에 폴더 복사하여 증가분 만들기

▶ 시작 > 관리도구 > Windows Server 백업 선택

▶ 오른쪽에 있는 ‘백업 일정’ 선택

▶ 백업구성 선택시 ‘사용자 지정’으로 선택

▶ 백업항목 선택은 ‘C’만 선택하기

▶ 백업시간 지정하기

▶ 대상 디스크 선택시 사용가능한 모든 디스크 표시에서 ‘E’ 선택하기

▶ 체크하여 다음

▶ 선택한 디스크 사용 질문에 ‘예’ 선택

▶ 마침

⇒ 해당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증분 백업이 된다.